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자주 듣는 개념이 바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입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절세 방식과 효과는 분명히 다릅니다. 각각의 개념과 실제 적용 예시를 통해 차이를 명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소득공제란?
소득공제는 총급여(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빼주는 것으로, 소득이 줄어드는 만큼 세금을 계산할 기준인 과세표준도 낮아지고, 이에 따라 세금이 줄어듭니다.
연소득 4,000만 원인 근로자가 부양가족 2인에 대해 각 150만 원씩 인적공제를 받으면 총 300만 원이 소득에서 제외되고, 세율이 적용되는 과세표준이 줄어들어 세금도 줄어듭니다.
주요 소득공제 항목
- 인적공제 (부양가족 1인당 150만 원)
- 주택청약저축 납입액
- 신용·체크카드 사용금액
- 건강·고용보험료, 연금보험료
- 우리사주조합 출연금 등
2. 세액공제란?
세액공제는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해 산출된 세금에서 직접 일정 금액을 깎아주는 방식입니다. 이미 나온 세금에서 다시 깎아주는 개념이기 때문에 체감 효과가 큽니다.
주요 세액공제 항목
- 근로소득 세액공제
- 자녀 세액공제
-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 연금계좌 납입액 (연금저축, IRP 등)
의료비가 총급여의 3%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 15%까지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기부금이나 교육비도 비슷한 방식으로 적용.
3.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비교
항목 | 소득공제 | 세액공제 |
---|---|---|
절세 구조 | 소득에서 공제 → 과세표준 낮춤 | 산출세액에서 공제 → 최종세액 낮춤 |
효과 | 과세표준 구간이 바뀌어 세율까지 낮출 수 있음 | 직접 세금에서 차감하므로 체감 효과 큼 |
대표 항목 | 인적공제, 연금보험료, 카드 사용액 등 | 의료비, 교육비, 연금계좌 등 |
4. 실제 절세 시뮬레이션
예를 들어, 연봉이 3,500만 원인 직장인이 1,500만 원의 소득공제를 받았다면, 과세표준은 2,000만 원이 됩니다. 이 경우 15% 세율 구간에 해당되어 약 300만 원의 세금이 산출됩니다.
여기서 자녀공제 15만 원, 의료비 공제 20만 원 등 세액공제를 추가로 받게 되면 실제 납부세액은 그만큼 줄어듭니다.
5. 장단점 요약
- 소득공제: 과세표준과 세율을 함께 낮출 수 있으나, 소득이 낮은 사람에게는 절세 효과가 작을 수 있음
- 세액공제: 산출세액에서 직접 차감되어 효과가 분명하지만, 납부세액이 없으면 공제받지 못함
6. 공제 최대로 받는 전략
- 소득공제 항목은 한도까지 채우고, 특히 카드 사용액은 총급여의 25% 초과 사용분부터 공제되므로 체크카드나 현금영수증 사용을 늘리는 것이 유리함
- 세액공제는 연금저축과 IRP 납입으로 최대 700만 원까지 공제 가능하므로 연초부터 분할 납입 추천
- 자녀·의료비·교육비·기부금 등은 신용카드보다 별도로 지출 내역 관리해 세액공제로 활용
7. 자주 묻는 질문 (FAQ)
- Q.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중 어느 쪽이 더 유리한가요?
A. 고소득자는 세액공제의 체감 절세 효과가 크고, 저소득자는 소득공제를 통해 과세표준 구간을 낮추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 Q. 두 공제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예: 신용카드는 소득공제, 연금저축은 세액공제 대상입니다. - Q. 소득이 낮아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
A. 세액공제는 산출세액이 있어야 적용됩니다. 납부세액이 0이라면 공제 혜택도 없습니다. - Q.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는 얼마인가요?
A. 최대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하며, IRP 포함 시 최대 700만 원까지 확대됩니다.
관련 글:연말 정산 세액 공제 혜택 받는 금융 상품 4가지
연말 정산 세액 공제 혜택 받는 금융 상품 4가지
연말 소득공제 절세 금융 상품 정리- 가장 쉽게 세금을 줄이는 방법은 '13월의 월급'이라고 말하는 연말 정산에서 공제액을 최대한 늘리는 것이다. 국세청은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연금계좌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개인형 irp/ 퇴직연금 차이 | 세액 공제 한도
연말정산 필수 전략, IRP/연금 저축 투자 전략부터 절세 방법까지
연말정산 & 세액공제를 위한 대표 연금상품세액공제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한 대표적인 연금상품으로는 연금저축펀드와 개인형퇴직연금(IRP)이 있습니다. 이 둘은 성격과 제약 조건이 다르기 때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안 찾으면 국고 환수 되는 '숨은 돈 찾기' 8가지
안 찾으면 국고 환수 되는 '숨은 돈 찾기' 8가지
안 찾으면 국고 환수 되는 '숨은 돈 찾기' 1. 건강보험료 과오납 환급금- 내가 낸 건강보험료 중에 이중으로 납부됐거나, 기타의 사유로 금액이 조정돼서 돌려받아야 하는 돈. - 본인부담금 환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세금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금리/협박/유사 수신, 불법 대출 사기 피해 유형과 대처 방법 (0) | 2022.04.04 |
---|---|
몰랐던 금융 꿀팁, 연말 정산 + 재테크 실수 줄이는 방법 (0) | 2022.03.04 |
신용불량 막는 방법, 장기 연체자 채무 감면 받는 개인워크아웃 (0) | 2022.01.18 |
연말정산 필수 전략, IRP/연금 저축 투자 전략부터 절세 방법까지 (0) | 2021.11.09 |
달러 투자, 예금만으로 충분할까? 초보부터 고수까지 전략 총 정리 (0) | 2021.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