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대환대출, 지금 갈아타면 이자 줄일 수 있습니다
기존 고금리 대출을 더 낮은 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온라인 대환대출 서비스가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누구나 스마트폰만으로 갈아타기 가능해졌습니다.
- 신용대출: 2023년 5월 31일부터 시행 중
- 아파트 담보대출: 2024년 1월 9일부터 시작
- 전세자금대출: 2024년 1월 31일부터 온라인 대환 가능
갈아탈 수 있는 대출, 이것만 기억하세요
-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10억 이하, 시세 확인 가능한 아파트 담보, 대출 6개월 이상 경과
- 전세자금대출: 기존 대출 3개월 이상 경과, 임차 계약 2분의 1 이전, 또는 갱신계약 시 가능
- 보증기관 동일 조건: 기존 대출과 동일한 보증기관의 보증부 상품으로만 대환 가능
- 연체·소송 등 법적 분쟁 중인 대출
- 중도금·이주비·집단대출
- 정책금융 저금리 상품
온라인 대환대출, 이렇게 진행됩니다
① 대출 비교 플랫폼 가입 및 정보 확인
-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핀다, 핀크, 뱅크셀러드 등 앱 설치
- 마이데이터 연동으로 기존 대출금리·잔액 확인
② 조건 비교 및 신규 상품 선택
- 제휴 금융사 상품 비교 후 신규 대출 선택
- 소득 서류는 대부분 자동 수집, 주택 관련 서류는 직접 업로드
③ 비대면으로 대출 신청 및 계약
- 앱 또는 금융사 영업점에서 신청 가능
- 심사 후 약정하면 자동으로 기존 대출 상환 처리
④ 금융회사가 자동 처리
- 대출이동 중계시스템 통해 기존 대출 상환·등기 말소 처리
- 보증부 전세자금 대출은 보증 반환 해지 및 재가입 자동 처리
참여 플랫폼 및 제휴 금융사 (2025년 4월 기준)
구분 | 참여 플랫폼 | 주요 금융사 |
---|---|---|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핀다, 핀크, 뱅크셀러드 | 신한, 국민, 우리, 하나, 농협, 기업, SC,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삼성생명 등 |
전세자금대출 |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핀다 |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수협, 토스뱅크, 롯데손보 등 |
갈아타기 전 꼭 알아야 할 제한 조건
- 대환 가능 한도: 기존 대출 잔액 이내
- 만기 제한: 기존 대출의 남은 만기 이내
- 증액 불가: 단, 전세 보증금 증액 시 증액 대환 허용
- 신규 대출의 금리는 0.3~1.5% 낮을 수 있습니다
- 플랫폼마다 수수료율 및 이벤트가 다르니 비교 필수
- ‘조건 맞춤 검색’ 기능을 활용하면 승인 가능성이 높은 상품 우선 추천
자주 묻는 질문 (FAQ)
Q. 신용등급이 낮아도 대환이 가능한가요?
가능은 하지만 조건이 제한적일 수 있으며, 플랫폼에서는 자동으로 대환 가능 여부를 선별해줍니다.
Q. 대환 시 인지세나 수수료가 발생하나요?
인지세는 대출 금액별로 7만~15만원 내외 발생 가능하며, 수수료는 플랫폼 및 금융사별로 상이합니다.
Q. 꼭 비대면으로만 진행해야 하나요?
앱으로 시작하되, 필요한 경우 금융사 영업점 방문으로도 전환 가능합니다.
지금 갈아타면 연 이자 수십만 원 절약 가능
고금리 시대를 지나며 이제는 대출을 ‘관리’하는 시대입니다. 조건만 맞다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갈아타는 것만으로도 수십만 원의 이자를 줄일 수 있는 절호의 타이밍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플랫폼에 접속해서 내 대출 조건을 확인해보세요. 빠르게 비교하고, 정확하게 줄이는 전략이 시작입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이자 아끼는 방법
주택 담보 대출(주담대) 이자 아끼는 방법- 은행권 고정형(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연 5%대 후반까지 오르는 등 주담대 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계속 밀리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대출 받고 후회했다면? 14일 안에 청약 철회하는 방법
대출 받고 후회했다면? 14일 안에 청약 철회하는 방법
대출 취소 가능한 '청약 철회권' 제대로 쓰는 법 (2025년 기준)대출을 받고도 맘이 바뀌었다면? 2025년 현재, 금융소비자는 대출 후 14일 이내라면 청약 철회권을 통해 불이익 없이 계약을 철회할 수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보험사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 예약
주담대 받기 전에 꼭 봐야 할 보험사 '금리 예약제' 전략 (2025)
2025년형 대출 재테크 전략: 보험사 금리 예약제 & 대환대출 활용법금리 인상기가 지속되며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이럴 때 똑똑한 금융 전략으로 주목받는 것이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세금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세 사업장 주택임대업 매출 신고, 1주택도 과세될 수 있다? (0) | 2024.02.11 |
---|---|
소상공인 정부/지자체 저금리 대출, 조건과 신청 방법 (2025) (0) | 2024.02.05 |
지역 건강보험료 줄이는 6가지 실전 방법 (2025) (0) | 2024.01.10 |
달러 환테크 수익률, 진짜 가능할까? 1년 투자 시뮬레이션 분석 (0) | 2023.12.13 |
상속세 미리 준비 안 하면 자녀가 집 팔아야 할 수도 있다 (0) | 2023.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