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부동산 공부

청약 통장 25만원 납입했을 때 장단점

by 블랙스완 미니 2024. 10. 25.

청약-통장-25만원-납입-장점-단점
청약 통장 25만원

청약 통장 25만 원 납입 장단점

- 청약통장 월 납입액 한도가 25만 원으로 상향되면서, 공공 분양 주택을 노리려면 25만 원을 납입해야 한다. 꽉 채워서 납입했을 때 장점과 단점이 있다. 

 

장점 1 - 공공분양 주택 공급 증가

- 재건축, 재개발 추진 과정에서 공공분양 주택이 추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절차가 간단해졌다. 도심 주택사업 여건 개선으로 현행 변경입안 -> 주민/지방의회 협의 ->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정비계획 변경에서 개선안은 변경입안 -> 정비계획 변경으로 간소화 됐다. 

 

장점 2 - 25만원 납입으로 빠른 기간 납입 인정금액을 채울 수 있다

 

- 25만 원 꽉 채워서 넣을 시 납입 인정금액이 높아져 당첨 확률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청약통장 소득공제 한도를 300만 원으로 상향했기 때문에 청약통장에 돈을 상향해서 넣으면, 연말 정산에서 더 공제를 받을 수 있다. 300만원 한도에서 40%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단점 1 - 시중금리 대비 이율이 낮다

- 청약통장이 시중금리 대비 이율이 낮아서 혜택이 적다. 차라리 이 돈으로 적금을 넣는다면 더 많은 돈을 불릴 수 있는 것이다. 청약통장의 금리는 2.5%다. 

 

단점 2 - 누구나 높여서 내면 결국 당첨 금액 선이 높아질 수 있다

- 25만 원으로 누구나 상향해서 낸다면, 결국 당첨을 위한 금액 선은 높아질 거다라는 얘기도 나온다. 서울의 공공분양주택 청약(일반 공급)에 당첨되기 위해서 납입금액은 2200만 원을 넣어야 한다고 하는데, 이 당첨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의미다.

 

단점 3 - 25만 원씩 내는 게 부담

- 25만원씩 내는 게 부담스럽다는 우려도 있다. 10만 원에서 2.5배 상승하다 보니 묶어만 놓기에는 부담스러운 금액이 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청약통장 해지율도 증가하고 있다. 좋은 위치에 있는 공공분양 당첨은 경쟁률이 엄청 높기 때문이다. 그래도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을 가지고 있다면 금리가 4.5% 기 때문에 안 한 청년이라면 이 통장으로 바꿔서 넣으면 유리하다. 

 


 

관련 글: 묻지 마 오피스텔 청약 조심

관련 글: 무주택자 내 집 마련 신축보다는 구축 경매

관련 글: 청약 통장 전환 헷갈리는 것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