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Fed) 금리 인상/인하 이유
1. 중앙은행의 목적과 역할
- 연준(Federal Reserve)을 포함한 중앙은행의 주요 목표는 물가 안정(stable price)과 경제 성장이다. 특히 연준의 통화정책은 다음 세 가지를 중심으로 설정된다.
1) 물가 안정
2) 최대 고용 달성(maximum employment)
3) 안정적인 장기 금리 유지(moderate long-term interest rates)
2. 금리 인상의 이유
- 금리 인상은 주로 높은 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 도구로 사용된다.
1) 물가 안정이 최우선
- 연준은 물가가 급등하면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해서 금리를 올린다.
1) 물가 상승률이 40년 이래 최고 수준일 때, 경제보다 물가 안정에 우선순위를 둔다.
2) 물가 억제는 연준의 주요 역할이며, 물가 상승률 둔화가 명확해지기 전까지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
2) 수요 억제를 통한 인플레이션 완화
- 금리를 올리면 소비자와 기업의 차입 비용이 증가해서 대출 및 지출이 감소한다.
수요 감소는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고정된 지출 비중이 높은 주택 시장이나 자동차 대출 등의 냉각이 유도된다.
3) 탄탄한 고용 상황
- 금리 인상 시 고용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지만, 연준은 현재 고용이 안정적(실업률 3.5%)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완전 고용에 가까운 상태에서는 물가 억제가 정책의 우선순위가 된다.
3. 금리 인하의 이유
- 반대로, 연준은 경제 둔화나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의 징후가 나타날 경우 금리를 인하한다.
1) 경제 성장 촉진
- 금리 인하는 기업과 소비자의 대출 비용을 낮춰 경제 활동을 촉진한다. 대출이 용이해지면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 경제 성장이 가속화된다.
2) 고용 안정
- 경제 침체로 인해 고용 시장이 악화되면 금리 인하를 통해 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이고 고용 창출을 도모한다.
3) 주택 시장 활성화
- 낮아진 모기지 금리는 주택 구매를 촉진해서 경제 회복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다.
4.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1) 물가 상승률(PCE, CPI)
- 물가가 연준 목표(2%)를 초과할 경우,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진다.
2) 고용률 및 실업률
- 실업률이 높아질 경우 금리를 인하해서 경제 안정화를 유도한다.
3) 주택 시장 지표
- 주택 가격 및 임대료 지표는 물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4) 국내외 경제 상황
- 글로벌 경기 둔화, 금융 안정성 등도 금리 정책에 반영된다.
관련 글: 미국 경제 지표 의미와 국내 경제 영향 총 정리
미국 경제 지표 의미와 국내 경제 영향 총 정리
미국 주요 경제 지표 의미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GDP(국내 총생산)- 일정 기간 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합산한 지표- 경제 성장률을 나타내는 가장 기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미국 경기 침체 예상 지표 3가지
미국 경기 침체 예상 지표 3가지
경기침체 예상 지표 3가지 1. 소비자 물가지수 (CPI) - 소비자물가지수 (CPI)란, 도시 거주 가구가 구매하는 소비재와 서비스 가격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다. 근원 소비자물가지구(Core CPI)란, 식품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시장 분석과 활용법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시장 분석과 활용법
주식 시장 분석 방법 시장 분석 이란?- 산업 분석에서 한 걸음 더 세분화해 들어가,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뿐만 아니라 주가의 변동과 큰 관계가 있어 보이는 시장의 내부 요인들을 분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대통령 임기별 증시 흐름_3년 차가 중요한 이유 (0) | 2023.04.03 |
---|---|
주가는 경제를 선행한다? 사계절 이론 투자법 (0) | 2023.03.31 |
주식 종목 고르는 방법 15가지 (0) | 2023.02.13 |
토큰 증권(STO) 이란? (0) | 2023.02.10 |
주식 종목 선택 필수 기준 4가지 (0) | 2023.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