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부동산 공부

무주택자 인 줄 알았는데 취득세 중과 사례

by 블랙스완 미니 2024. 6. 6.

무주택-자-취득세-중과-사례
취득세 중과

무주택자인 줄 알았는데 취득세 중과? 분양권 계약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함정

 

1. 무주택자인데 왜 취득세 폭탄?

취득세는 분양권 계약 시점의 주택 보유 수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계약 당시 다주택자였다면, 지금 무주택자여도 최대 12%의 중과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A씨 사례
2023년 분양권 계약 당시 2주택자 → 2025년 입주 시점에는 무주택자
→ 하지만 취득세 8% 적용 → 약 6천만 원 납부

2. 아직도 유지되는 징벌적 세제

2021년 부동산 급등기 도입된 취득세 중과 제도는 2025년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으며, 실수요자도 예외 없이 적용받고 있습니다.

3. 세대 합가·분리 따라 중과 여부 달라져

  • B씨 사례: 계약 후 부모와 합가 → 부모가 2주택 보유 → 3주택자로 중과
  • C씨 사례: 계약 후 세대 분리 → 단독세대 → 일반세율 적용

같은 분양권이라도 세대 구성에 따라 취득세가 달라질 수 있어 논란이 큽니다.

4. 행안부 vs 조세심판원, 해석 충돌

  • 행안부: 계약 시점 + 취득 시점 세대 기준 모두 고려
  • 조세심판원: 계약 시 단독세대였으면 이후 합가하더라도 중과 대상 아님

2025년 1월에도 조세심판원은 납세자 승소 판결을 내린 사례가 있습니다.

 

5. 무주택자라도 중과 피하려면 이렇게 준비하세요

✔ 분양권 계약 전

  • 본인, 배우자, 부모 등 세대 구성원 주택 보유 수 확인
  • 조정대상지역 여부 확인

✔ 세대 계획 조율

  • 합가 또는 분리 시점 조절
  • 세대 분리 시 건강보험료·양도세 영향도 고려

✔ 불리하게 적용됐을 때

  • 조세심판원 유사 판례 확인
  • 경정청구 통해 환급 요청 가능
주의사항: 부부간 증여·전매도 신중하게 진행해야 하며, 탈세로 간주될 수 있는 사례는 세무 전문가의 자문이 필수입니다.

계약 당시 기준 명확히 이해하고 대비하자

분양권 계약 시점의 주택 수와 세대 구성이 향후 수천만 원의 세금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계약 전 확인 → 세대 조율 → 유사 사례 대비 순으로 전략적으로 접근하세요.

 


 

관련 글:토지/주택 재산세 9월 넘으면 3% 가산세

 

토지/주택 재산세 9월 넘으면 3% 가산세

지방세 납부 꼭 알아야 할 것- 9월은 재산세를 내는 달이다.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매겨진 토지와 주택분 재산세를 9월 말까지 납부해야 한다. 보통 주택 보유자는 연간 납부해야 할 재산세를 7월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생애 최초 주택 구입 취득세 감면 조건 (2025년 기준)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취득세 감면 조건 (2025년 기준)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취득세 감면 조건 -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음은 주요 조건과 유의사항이다.  1. 대상 주택 1) 주택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2025 분양권 증여 취득세 중과 규정 완벽 정리

 

2025 분양권 증여 취득세 중과 규정 완벽 정리

2025 분양권 배우자 증여해도 취득세 중과 못 피해 분양권 증여와 취득세 중과 문제- A 씨는 2025년 초 입주 예정인 아파트 분양권을 보유 중이며, 이를 배우자에게 증여해 취득세 중과를 피하려고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