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 통장 납입 상한액 25만 원으로
- 3기 신도시 등에서 공공분양을 노리는 청약 대기자들은 앞으로 매달 25만 원씩 청약통장에 저축해야 당첨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청약부금과 청약저축 등 용도가 한정됐었던 통장은 기존 납입 실적을 인정받으면서 민간과 공공청약에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도 전환이 가능해진다.
우선 정부는 청약통장 월 납입 인정 한도를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월 납입 인정한도는 1983년 이후 41년 만에 늘어난 것이다. 청약통장은 매달 2만 원에서 최대 50만 원까지 가입자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다. 단, 공공분양 당첨자 선정을 위한 총 납입액 산정 때는 매달 납입 금액 중 10만 원까지만 인정해 왔었다.
만약 청약통장에 매달 50만 원을 저축하더라도 공공분양에서는 이 중 10만 원만 인정해 총납입액을 산정한 것이다. 공공분양은 저축 총액을 기준으로 당첨자를 가리는데, 월 납입 인정 한도가 늘어나면서 앞으로는 높아진 불입 한도액에 맞춰 매달 25만 원씩 저축해야 공공분양에서 유리할 수 있다.
월 25만원 납입 시 소득공제 혜택 최대한도
- 연 소득 7000만 원 이하 무주택 가구주는 연간 주택청약 납입액 300만 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매달 25만 원씩 청약통장에 저축하면 월 인정 한도를 채우는 동시에 소득공제 혜택도 최대로 누리게 되는 것이다. 단, 이번 조치로 인해 매달 10만원 저축도 빠듯한 서민들의 청약 당첨 가능성을 낮추고 오히려 중산층 이상의 혜택을 늘린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청약 통장 가입이 늦더라도 매달 25만원씩 저축하면 10만 원씩 납입하는 사람을 추월할 수 있게 된다. 만약 4인 가족 기준 인정 한도만큼 저축한다고 가정했을 때, 총납입액이 40만 원(10만 X4)에서 100만 원(25만 X4)으로 늘어나 그만큼 저소득층에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주택청약 종합 저축으로 전환 허용
- 정부는 민영과 공공 중 하나만 청약할 수 있었던 청약예금과 부금 등을 모든 주택에 대해 청약이 가능한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전환을 허용하기로 했다. 청약 통장 종류는 총 4가지다. 85㎡ 이하 민영주택만 가능한 청약 부금, 민영주택만 가능한 청약 예금, 공공주택이 가능한 청약저축, 모든 주택에 가능한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나뉜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이 2009년 5월에 출시돼서 이전에 부금과 예금에 가입한 사람들은 청약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정부는 이를 개선해서 기존에 갖고 있던 통장의 납입 실적은 인정받으면서 청약 기회는 확대해 주기로 했다.
청약 예/부금 가입 기간 인정
- 청약 예/부금은 기존 통장 가입 기간을 그대로 인정받고, 청약저축은 공공청약을 위한 납입 횟수와 월 납입 인정 금액을 그대로 이어갈 수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청약저축과 예/부금 가입자는 약 140만 명이다. 전체 청약통장 가입자(2696만 명)의 5.2%를 차지한다.
비중으로 따지면 크지 않지만 가입한 지 오래된 사람이 많아서 종합저축으로 전환 시 청약 경쟁은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 글: 분양가 부담에 금융혜택 많아진 미분양 단지
관련 글: 청약 제도 개편 내용 (24.3 ver)
관련 글: 청약 당첨 후 포기 페널티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개발 상가 분양 불이익 받았을 때, 대처법 (0) | 2024.06.29 |
---|---|
든든 전세 주택 총 정리 (0) | 2024.06.27 |
무주택자 인 줄 알았는데 취득세 중과 사례 (0) | 2024.06.06 |
2주택자가 분양권 구매 시 취득 세 (0) | 2024.05.26 |
전세 보증보험과 보증보험 가입 전 반드시 확인할 것 (0) | 2024.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