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부동산 공부

공공 분양 청약할 때 월 25만원 납입 유리

by 블랙스완 미니 2024. 6. 20.

공공분양-청약-통장-월25만-납입
공공분양 청약

청약통장, 월 25만 원까지 인정된다면 어떻게 달라질까?

 

청약 대기자라면 꼭 알아야 할 제도 변화

정부가 청약통장의 월 납입 인정 한도를 10만 원 → 25만 원으로 확대했습니다. 이는 1983년 이후 41년 만의 변화로, 공공분양 당첨자 선정 시 유리한 조건이 되며, 종합저축 전환으로 청약 전략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핵심 변화 요약
- 월 인정금액: 기존 10만 원 → 25만 원
- 소득공제: 연 300만 원 한도로 최대 활용 가능
- 종합저축 전환 허용: 청약저축·예금·부금 사용자도 기회 확대

청약 납입 인정 금액 확대, 당첨 확률도 바뀐다?

1. 기존 vs 변경 비교

  • 기존: 매월 10만 원까지만 인정 → 총납입액이 낮아 공공분양 경쟁에 불리
  • 변경 후: 매월 25만 원 인정 → 빠르게 총납입액을 쌓아 유리한 순위 확보 가능

2. 소득공제 혜택도 최대화

  • 연 300만 원까지 공제 가능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 무주택 가구주)
  • 월 25만 원 저축 시 소득공제도 최대로 활용
주의: 10만 원 이상 저축 여력이 없는 서민층은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수 있으므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기존 통장도 전환 가능해진다

1.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통합

  • 기존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 종합저축으로 전환 가능
  • 납입 실적은 유지하면서 민영/공공 모두 청약 가능

2. 예/부금 가입 기간도 인정

  • 청약예금·부금: 가입 기간 유지
  • 청약저축: 납입 횟수 & 월 납입 인정금액 유지

청약 전략,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 납입 인정 금액 확대 → 당첨 가능성 높이려면 25만 원 납입 고려
  • 예금/부금 사용자 → 종합저축 전환 후 민영/공공 통합 전략 설계
  • 소득공제 혜택 고려 → 무주택+소득 7000 이하라면 필수 활용
요약
- 매달 25만 원씩 청약통장 납입 시, 당첨 가능성 + 소득공제 효과 극대화
- 기존 청약저축·예금·부금 가입자도 종합저축으로 전환 가능
- 앞으로 청약 경쟁에서 납입 금액과 실적의 중요성이 더욱 커짐

 


 

관련 글: 분양가 부담에 금융혜택 많아진 미분양 단지

 

2025년 분양시장 판도 변화, 중도금 무이자 + 계약금 정액제 활용 법

금융 혜택 쏟아지는 분양 단지 (2025년 3월 최신) 1. 금융 혜택으로 초기 비용 부담 완화2025년 2월까지 전국 평균 분양가는 3.3㎡당 2418만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9%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같은 기간 6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민영/공공 주택 청약 무엇이 다를까?

 

민영/공공 주택 청약 무엇이 다를까?

2025년 주택청약 완전 정리: 청약통장, 1순위 조건부터 당첨 전략까지 주택청약이란?주택청약은 국민주택이나 민영주택에 입주하고자 할 때, 청약통장을 통한 신청으로 당첨자 선정을 받는 제도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청약 당첨 후 포기 페널티

 

청약 당첨 후 포기하면 무슨 일이 생길까? '이것' 못 한다

청약 당첨 후 포기, 가벼운 선택이 아닙니다최근 청약 경쟁률이 치솟는 가운데, 막상 당첨 후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가 잦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결정은 단순한 포기 그 이상으로 청약통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