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세금 재테크 공부

재산세/취득세 차이와 납부 기준과 절세 포인트

by 블랙스완 미니 2024. 9. 27.

재산세-취득세-차이-납부-기준-절세-포인트-손해-타이밍-구분법
재산세 취득세 차이

재산세와 취득세, 무엇이 다르고 언제 내야 하나요?

부동산 관련 세금 중에서도 가장 자주 접하는 것이 재산세취득세입니다. 하지만 이 두 가지는 납부 시기와 계산 방식, 절세 타이밍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제대로 구분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가산세나 중복 납부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취득세와 재산세, 가장 큰 차이

취득세: 부동산을 ‘취득할 때’ 한 번만 납부
재산세: 보유 중인 부동산에 대해 매년 반복 납부 → 취득세는 초기 비용, 재산세는 보유 비용입니다.

취득세 납부 기준과 시기

  • 부동산을 취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 신고·납부
  • 상속은 6개월, 법인 무상취득은 30일 이내
  • 납부하지 않으면 3% 가산세 + 월 0.75% 지연 가산금 부과

 

재산세 납부 기준과 시기

– 과세 기준일: 매년 6월 1일
– 7월: 주택·건축물 등 1기분 납부
– 9월: 주택 2기분, 토지 일괄 납부
– 주소지 지방자치단체가 고지서 발송

 

세금 계산 방식 차이

  • 취득세: 과세표준 × 세율 (주택, 토지, 상가 별도)
  • 재산세: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세율

 

취득세 감면 대상

–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 농어촌 주택 – 장애인 특별공급 – 일정 요건 충족 시 감면 신청 필수
→ 감면 대상임에도 신청하지 않으면 자동 적용되지 않습니다.

 

재산세 절세 방법

  • 공시가격 확인 후 이의신청 (4월~5월)
  • 1주택자는 공정시장가액비율 혜택 적용
  • 다주택자 → 보유 구조 조정 or 분산 등기 활용

가장 많이 헷갈리는 질문 정리 (FAQ)

Q. 취득세는 거래 후 바로 내야 하나요?

네. 대부분의 경우 부동산 계약 체결일 기준으로 6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Q. 재산세는 보유하고 있는 사람만 내는 건가요?

맞습니다. 과세 기준일인 6월 1일 현재 부동산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

Q. 세금이 너무 많을 때 나눠낼 수 있나요?

재산세는 20만 원 초과 시 7월과 9월 두 차례 나눠 납부되며, 지방세 자동이체 또는 신용카드 납부도 가능합니다.

헷갈리는 두 세금, 시기와 목적이 다릅니다

재산세와 취득세는 모두 지방세 항목이지만, ‘언제, 왜 내는지’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납부 시기를 놓치면 가산세가 붙을 수 있고, 절세 조건을 미리 챙기지 않으면 불필요한 세금 부담이 생깁니다.

공시가격 확인부터 납부 방식까지 미리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글:재산세부터 종부세까지, 오피스텔 주거용 전환 시 주의할 점

 

재산세부터 종부세까지, 오피스텔 주거용 전환 시 주의할 점

오피스텔 주거용 사용 시 세금 총정리 (2025년 3월 기준) 오피스텔, 주거용으로 쓰면 주택으로 간주오피스텔은 본래 업무용 부동산이지만, 주방과 욕실이 설치돼 있어 실제 주거용으로 많이 활용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무주택자 인 줄 알았는데 취득세 중과 사례

 

무주택자 인 줄 알았는데 취득세 중과 사례

무주택자인 줄 알았는데 취득세 중과? 분양권 계약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함정 1. 무주택자인데 왜 취득세 폭탄?취득세는 분양권 계약 시점의 주택 보유 수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계약 당시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7월 재산세 줄이는 방법, 확인해야 할 세금 포인트(2025)

 

7월 재산세 줄이는 방법, 확인해야 할 세금 포인트(2025)

6억 이하 1주택자 재산세 혜택, 2025년 7월 납부 전 꼭 확인!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2025년 7월은 토지·주택 보유자가 반드시 체크해야 할 달입니다.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과세되며, 7월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