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 사업자 주택 매도 시 양도소득세
1. '일시적 2주택' 규정으로 비과세 받는 법
- 종전 주택을 취득한 지 1년 이상 경과 후 신규 주택을 취득해야 함
- 신규 주택 취득 후 3년 이내 종전 주택을 매도
- 12억 원 이하의 주택에 대해 비과세 적용
주의 사항
- 종전 주택 취득 1년 경과 조건 미충족 시 비과세 적용 불가
- 실제 사례에서 이 조건을 놓쳐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 다수 발생
2. 다주택자도 가능한 '거주주택 비과세'
- 매도 주택 외에 다른 주택을 임대사업자 등록으로 활용한 경우
- 임대사업자 등록: 지방자치단체 + 세무서 등록 필수
- 현재 아파트는 임대사업자 등록 제한
조건
- 임대의무 기간 준수 및 임대료 상승 제한 요건 충족
- 매도 대상 주택은 2년 이상 거주
주의 사항
- 규정이 엄격하므로 전문가 상담 권장
3. 임대주택 매도 시 '직전거주주택보유주택' 규정
- 임대사업자로 거주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은 뒤, 임대주택으로 활용한 주택을 매도하는 경우
전체 양도차익 비과세 불가
합리적 기준에 따라 비과세와 과세 부분을 나누어 계산
계산 방식
- 최초 취득 시점, 거주 주택 매도 시점, 임대주택 매도 시점의 공시가격 비율로 분배
4. 비과세 사례 증가와 주의사항
- 2018년 이후 등록임대주택과 거주주택 비과세 사례가 늘어남
- 현재는 임대주택 말소 후 매도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
- 매도 시점에 1가구 1주택 상태라도 단순히 비과세로 처리하면 오류 발생 가능
- 양도소득세 신고 시 정확한 규정과 세법 조건에 맞게 계산해야 함
관련 글: 10가지 사례로 본 부동산 양도세 (비과세 기준 및 양도 기한)
10가지 사례로 본 부동산 양도세 (비과세 기준 및 양도 기한)
10가지 사례로 본 부동산 양도세 1. 조정대상지역 내 일시적 2 주택자의 종전주택 양도기한은?ex) 서울에 1주택(A)을 보유하고 있던 홍길동이 이사를 위해 18년 7월 서울 소재 아파트(B) 분양 계약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2주택자 양도세 면제 조건 |세금
2025년 부터 주택 상속/증여 감정평가 대상
2025년부터 주택 상속/증여 감정평가 대상- 상속/증여세 신고 시에 재산 평가는 중요한 문제다. 평가 규모에 따라 상속/증여세 부담(1억 이하 10%, 5억 이하 20%, 10억 이하 30%, 30억 이하 40%, 30억 초과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대출/전세 낀 집 증여세 아끼는 방법
대출/전세 낀 집 증여세 아끼는 방법
전세/대출 낀 집 증여세 아끼는 방법 - 증여세 절세 목적으로 부담부증여를 생각한다면,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 부담부증여란, 증여를 받는 수증자에게 채무도 함께 넘기는 것을 의미한다.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에게 증여할 때 시가 70%일 때가 제일 적당 (0) | 2024.04.23 |
---|---|
아파트 10억 시대 절세 방법 (0) | 2024.04.20 |
오피스텔 주거용 일 때 재산세 부과 방식 (0) | 2024.04.18 |
젊은 층이 집 살 때는 '직주 근접' 우선 (0) | 2024.04.18 |
부동산 바닥 신호 10가지 (0) | 2024.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