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부동산 공부

조심해야 할 전세 사기 유형 총 정리 (2025)

by 블랙스완 미니 2022. 12. 4.

 

전세사기-유형-조심-할-점
전세 사기 유형 별 조심해야 할 것

전세 계약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사기 유형 8가지

 

1. 이중계약 사기

관리인이 집주인 몰래 전세 계약 후 보증금을 챙기거나, 기존 세입자가 집주인 행세를 하며 이중 계약을 체결하는 유형입니다.

  • 등기부등본상 소유자와 계약 상대방이 일치하는지 확인
  • 가능하면 집주인과 직접 계약
  • 대리 계약 시 위임 범위를 명확히 요구

 

2. 중복계약 사기

한 채의 주택을 여러 명에게 전세 계약하여 보증금을 챙기고 사라지는 유형입니다.

  • 시세보다 지나치게 저렴하면 의심
  • 공인중개사 등록 여부 확인
  • 계약 직후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필수

3. 깡통 전세 사기

시세를 속여 보증금을 부풀리고 대출로 담보 잡힌 후 잠적하는 형태입니다.

  • 근저당이 많다면 피하기
  • 등기부등본 수시 확인 (입주 직전 재확인)

 

4. 갭투자 전세 사기

전세가가 매매가보다 높은 집을 구입 후, 제3자에게 명의를 넘겨 세입자 피해를 유발하는 경우입니다.

  • 전세보증금과 매매가 차이 확인
  • 전세보증보험 가입 요구
  • 계약서에 소유자 변경 시 해지 조항 삽입

 

5. 불법 건축물 사기

주거용이 아닌 건물이나 불법 증축 건물을 속여 전세계약을 맺는 유형입니다.

  • 건축물대장 확인 필수
  • 보증보험·전세대출 가능 여부 확인

6. 직거래 사기

집주인을 사칭해 세입자와 계약한 뒤 잠적하는 유형입니다.

  • 공인중개사를 통한 계약이 안전
  • 신분증·등기부등본 일치 확인

 

7. 신탁사 소유 물건 사기

소유권이 신탁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주인이 계약을 진행해 보증금을 탈취합니다.

  • 신탁 물건은 반드시 신탁사에 확인 필수

 

8. 대항력 이용 사기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이전에 담보 대출 또는 매매로 순위를 빼앗는 수법입니다.

  • 계약 당일 바로 전입신고 + 확정일자 필요

 

계약 전·후 반드시 해야 할 체크리스트

 

계약 전

  • 중개사무소 및 공인중개사 등록 여부 확인
  •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 납세증명서 확인
  • 소유자 본인 확인 (신분증 + 대면 필수)

 

계약 후

  • 계약일 당일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 주택 전월세 신고제도 등록
  • 전세보증보험 가입 완료

 전세 사기 예방, 이것만 기억하세요!

✔ 핵심 정리
- 계약 전 등기부등본과 신분증 일치 여부 확인
- 시세보다 너무 저렴한 매물은 무조건 의심
- 확정일자 + 전입신고는 반드시 계약 당일
-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한지 꼭 확인
- 불안하면 공인중개사를 통한 계약이 최선!

 


 

관련 글: 전세금 신종 사기/ 깡통 전세 주의보 (+예시)

 

전세금 신종 사기 (+예시)

신종 전세 사기 - "같은 주택형인데 3000만 원이 더 비싼 매물로 계약하면, 전세자금 대출 이자를 전액 지원해드립니다. 보증금 대출 한도 80%를 채워 자금을 마련해야 하는 청년들에게 좋은 조건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내 집 마련하려면 꼭 알아야 할 대출

 

내 집 마련하려면 꼭 알아야 할 대출

무주택자라면 필수로 알아야 할 대출 3가지1. 적격 대출- 9억 이하 주택을 살 때 최대 5억까지 가능 2. 보금자리론- 6억 이하 살 때 최대 4억까지 가능  3. 디딤돌 대출- 5억 이하 살 때 최대 2.6억까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투자 재테크 난이도, 운영 금액 별 종류 (총 정리)

 

투자 재테크 난이도 별 종류

나에게 맞는 재테크, 난이도와 운영 금액 별 총 정리 1. 난이도 - 상 1) ELS (100만~ 500만 원) - 최악의 경우 100% 원금 손실 위험 - 투자가 성공적일 때는 금액 상향 가능 - 기초자산의 움직임을 스스로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