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과 채권시장의 관계
- 돈은 금리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국제 유동자금도 환차손 문제만 없다면, 금리 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스왑 시장이 발달하면서, 환차손 문제가 해소되어 금리 차를 이용한 국제 금융자본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었다.
1. 초보를 위한 채권시장 알아보기
- 채권은 돈을 빌려 쓰고 원금과 이자를 지급한다는 증표로 발행기관에 따라 국고채, 지방채, 회사채 등으로, 채권 자체의 성격에 따라 일반채, 보증채, 담보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회사채의 경우를 보면, 기업은 은행에서 돈을 빌리거나 채권을 발행하면 빚이 늘어나므로, 되도록 주식발행 > 채권발행 > 차입 순으로 선호한다. 채권의 경우, 기업은 은행 눈치 안 보고 돈을 빌릴 수 있어서 좋고, 개인은 은행보다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어서 좋다.
예를 들어, 김갑순이 A회사의 채권을 가지고 있으면, 회사가 망하지 않는 한 만기에 원금과 이자가 보장되는데, 이때 생긴 수익을 '이자율'이라고 한다. 채권을 만기까지 기다리지 않고 중간에 사고팔면서 생긴 수익을 '수익률'이라고 한다.
채권의 이자율은, 근본적으로는 발행되는 시점의 이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채권은 시중금리보다 약간 비싼 고정 이자율로 판다. 채권을 산 후 시중금리가 상승한다면 상대적으로 손해고, 시중금리가 하락하면 상대적으로 이득이다. 그래서 만기일 전에 시중금리가 상승할 것이라는 사람과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사이에 매매가 이뤄질 수 있다.
2. 금리와 채권의 가격
- 일반적으로 금리를 인하하면, 해당 국가의 채권 가격이 상승한다.
예를 들어, 금리 5%일 때 이자율이 7%인 채권을 샀다고 하자. 만기 때까지 시중금리 보다 2%에 달하는 이자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런데 금리가 4%로 인하되고, 앞으로 더 인하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면, 금리보다 3%, 또는 그 이상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
이럴 때는 채권의 가격은 올라간다. 하지만 금리가 6%로 올랐다면, 그리고 앞으로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면, 채권을 산 시기보다 차익이 2~1%, 또는 그 이하까지 줄어들 가능성이 있으므로 채권의 가격은 내려간다.
3. 한국의 채권시장이 매력적인 이유
- 일반적으로 채권은 주식에 비해 유동성이 떨어지고 만기가 장기다. 채권 보유 기간 동안 채권 발행 기업의 부도 및 외국인의 경우 환차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채권 시장이 발달하면 만기 이전이라도 쉽게 사고팔 수 있으므로,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채권시장도 매력적일 수 있다.
1) 금리 및 외환 선물시장이 개설되어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2) 정부 차원에서 채권시장 조성, 채권 시가 평가제 실시, 국채 전문 딜러 제도 도입 등 채권시장 선진화 작업을 추진한 결과, 신용 등급이 높은 채권은 언제든지 매각할 수 있다.
3) 세계적인 신용평가 기관에서 한국 기업의 신용 등급을 상향 조정하면, 이것을 기초로 투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4) 한국은 세계적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 있다. 그래서 국제 유동자금이 한국 채권시장을 투자 대상으로 삼고 있으므로, 필요할 때 채권을 매각할 수 있다.
- 예전에는 채권을 사면 만기까지 보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금리 변동을 이용한 시세 차익 거래가 일반화되고 있다. 외국인들이 금리 인하 또는 인상 시기에 적절히 대응해서 자본을 이동시키고 있다. 또 경제 환경 변화를 이용한 채권 거래 역시 내국인들보다 정보력이 앞선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4. 금리 정책과 외국인
- 일반적으로 금리를 인하하면 돈이 채권으로 몰려서 해당 국가의 채권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외국인들은 이런 시기를 이용해서 국채를 매도할 수 있다. 게다가 금리 인하 시기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이며, 금리를 인하한 국가의 통화 가치 하락을 가져온다. 외국인들은 물론 한국인 투자자들도 환차익과 금리 차를 이용해서 거래할 수 있다.
또 대출 금융회사와 헤지펀드드른 금리가 낮은 국가의 통화 표시로 자금을 차입해서 금리가 높은 국가에 대출하거나 유가증권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거래를 하기도 한다.
1998년과 2007년 세계적인 금융회사들이 금리가 낮은 엔화 자금을 차입해서, 선진국과 이머징 마켓의 주식 및 부동산 시장에 투자해서 거품을 조성하기도 했다. 이는 일본의 제로 금리 정책이 초래한 자본 유출 사례다.
- 한국인들도 금융회사의 여유 자금과 외환 보유고를 이용해서 외국의 국채나 우량 회사채에 투자한다. 외국인과 차이점이 있다면, 외국인들은 수익률을 높이는 수단으로 채권시장을 이용하는데, 한국은 소극적으로 해외 채권에 투자한다는 것이다.
해외 자본 유입의 영향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 -> 해외 자본 유입 -> 주가지수 상승 및 통화량 증가 -> 시장금리 하락
-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의 국채와 우량 회사채를 매수하면 유동성이 늘어나서 시장금리가 하락하는 등으로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된다. 회복 신호가 보이면 주가지수가 급등하고, 채권 수요가 증가함으로써 채권 금리가 급락할 수 있어 기업이 자금을 쉽게 조달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경기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
해외 자본 이탈의 영향
경기 둔화 및 경상수지 적자 우려 -> 외국인 주식 및 채권 매도 -> 원화를 달러로 바꾸는 과정에서 통화량 감소 -> 주가지수 및 채권 가격 하락 -> 금융 경색 심화 -> 환율 및 시장금리 상승
- 외국인들이 국채와 우량 회사채를 매도하면, 시장금리와 환율이 상승하면서 물가가 오르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이나 외환 정책 등 거시 경제 정책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경제 당국이 환율을 중시하느냐, 금리 안정을 중시하느냐에 따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크게 달라질 수 있고, 자본의 이동 성향도 달라질 수 있다.
실물경제 영향
- 금리와 환율 변동은 외화 유입과 유출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자본의 유입과 유출에 의해서도 금리와 환율이 영향을 받는다. 이는 실물경제에 영향을 줘서 경제성장률과 경상수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리나 환율의 변동은, 국내외 자산의 수익률을 변화시켜서 자본이 수익률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국제 자본이 금리 및 환차익을 이용하기 위해 이동한다.
환율 하락/상승에 따른 자본 이동
- 환율 하락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환차익에 대한 기대로 자본 유입이 증가하고, 유동성이 증가하여 시중금리가 하락한다. 반면, 환율 상승 추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 환차손 우려 때문에 자본이 유출되어 금리가 상승한다. 또 환율 상승은 수출 증가 및 수입 감소를 통해 경상수지를 개선시킨다.
※ 경상수지 개선에 따른 유동성 증가는, 금리의 하락 요인이 되기도 한다.
관련 글: 환율 예측 및 환위험 관리 |기초편
관련 글: '기축 통화' 기본 개념과 성질 | 달러와 원화 관계
관련 글: 금리가 경제생활에 주는 영향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펀드 환위험 관리 | 기초편 (0) | 2023.06.21 |
---|---|
외국인 국내 주식시장 투자 |성향과 방식 (0) | 2023.06.21 |
국제 원자재/곡물 시장 | 환율 관계 (0) | 2023.06.20 |
주식 인지편향에서 오는 비효율성 |투자 철학 (1) | 2023.06.05 |
주식 심리적 인지편향 13가지 |투자 철학 (0) | 2023.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