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마켓·공동구매, 세금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될까?
블로그, 인스타그램, 카페, 톡방에서 공동구매·판매 활동을 하셨나요? 그렇다면 사업자 등록과 세금 신고는 필수입니다. 반복적 수익활동이라면, 취미가 아닌 ‘사업’으로 간주되어 세금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SNS 마켓 관련 세무규정은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지금 정확히 확인해두셔야 가산세나 과태료를 피할 수 있어요.
- 반복적인 판매/중개는 무조건 사업자 등록 대상
- 사업자 등록 안 하면 최대 매출의 1% 가산세
- 현금영수증 미발행 시 20% 과태료
- 부가세 + 종합소득세 신고 모두 필요
1. SNS 마켓 활동, 언제부터 세금 대상일까?
상품을 한두 번 판매했다고 무조건 사업자 등록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반복적으로 중개, 판매를 하는 경우 '사업소득'으로 간주됩니다.
대표적 과세 대상 활동
- 제품을 사입해서 SNS 채널로 반복 판매
- 브랜드 홍보 후 판매 수익 일정 비율 정산
- 공동구매 알선/중개 후 커미션 수령
국세청은 SNS 활동을 통해 매출을 올린 이들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으며, 소득 누락 시 소급 과세와 가산세까지 부과하고 있습니다.
2. 사업자 등록, 언제까지 해야 하나?
사업자 등록은 사업 시작일로부터 20일 이내에 반드시 해야 하며, 홈택스 또는 세무서 방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일반과세자 vs 간이과세자
- 연 매출 1억 4백만 원 이상 → 일반과세자
- 연 매출 1억 4백만 원 미만 → 간이과세자 등록 가능
- 일반과세자: 공급가액의 1% 가산세
- 간이과세자: 매출의 0.5% 또는 5만 원 중 큰 금액
- 명의 위장 시: 2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 벌금
3. 세금은 어떤 걸 내야 하나요?
SNS 마켓 사업자는 두 가지 세금을 납부합니다:
- 부가가치세 (1월, 7월)
- 종합소득세 (5월)
부가가치세 계산법
- 일반과세자 → 매출 × 10% – 매입 × 10%
- 간이과세자 → 매출 × 15% – 공급대가 × 0.5%
특히 부업으로 SNS 마켓을 하는 직장인의 경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합산 신고해야 하며, 이를 누락하면 추징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4.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안 하면 과태료?
전자상거래 사업자는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업종입니다. 2021년부터 10만 원 이상 현금 거래가 발생하면 소비자 요청 여부와 관계없이 의무적으로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합니다.
- 10만 원 이상 거래 미발행: 미발급액의 20% 가산세
- 10만 원 미만 거래 거부 시: 5% 과태료
- 2회 이상 적발: 20%까지 과태료 상승
계좌이체, 카카오 송금 등도 모두 현금 거래로 간주됩니다.
5. SNS 마켓 세금 신고, 꿀팁 요약
- 반복 판매 = 사업자 등록 필수
- 홈택스에서 20일 내 등록
- 연 매출 기준 일반/간이 선택 (1억 400만 원 기준)
- 현금영수증 의무 여부 확인
- 부가세는 1·7월, 종합소득세는 5월 신고
지금 신고 안 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
사업자 등록 없이 판매를 지속하면, 가산세 + 세무조사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공동구매 형태로 상품을 유통한 경우, 국세청에서는 '중개형 플랫폼 사업자'로 간주해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단 한 건의 현금영수증 누락으로도 추적이 가능하니, 미리 대비하는 게 유일한 방법입니다.
사업자등록, 오늘 안 하면 늦습니다
“잠깐 파는 건데 괜찮겠지…”라는 생각으로 시작된 판매, 지금이 바로 사업자 등록과 세금 정리를 해야 할 타이밍입니다. 홈택스 접속만으로도 등록과 신고는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으니, 오늘 안에 마무리해두세요.
관련 글:부업 소득자 300만원(기타소득) 이상이면 종소세 신고 대상 (2025)
부업 소득자 300만원(기타소득) 이상이면 종소세 신고 대상 (2025)
유튜브·부업소득 연 300만 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부업이나 프리랜스 수입이 있는 경우,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5월 말까지 반드시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가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7월부터 매출 1억도 간이 과세 적용
7월부터 매출 1억도 간이 과세 적용
간이 과세 연매출 기준 상향- 다음 달(2024년) 7월부터 20만 명이 넘는 자영업자들이 새롭게 '간이과세'를 적용받는다. 전자세금계산서를 의무적으로 발급해야 하는 개인사업자도 60만 명 가까이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부가가치세(부가세) 신고할 때 알아야 할 모든 것
부가세 신고/절세/환급/기한 연장 방법에 대한 모든 것 (2025)
부가세 신고, 제대로 알아야 덜 낸다10월 25일까지는 2기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기간입니다. 이번 신고는 상반기 납부세액의 절반만 납부하면 되며, 기한을 넘기거나 과소신고하면 최대 40%의 가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세금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소득 2000만원 넘는다면 '분산' 전략으로 절세 (0) | 2023.11.20 |
---|---|
5년간 법인세 100% 감면? 중소기업이 꼭 알아야 할 절세 전략 (0) | 2023.11.16 |
부가세 신고/절세/환급/기한 연장 방법에 대한 모든 것 (2025) (0) | 2023.10.14 |
사업자 대출 이자, 경비 처리 및 인정 받는 법 (2025) (0) | 2023.10.06 |
역전세 반환 대출 많이 하는 질문 10가지 (0) | 2023.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