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 분석 지표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 Moving Average는 이동평균선을 말하고, Convergence는 '수렴한다' '모아진다', Divergence는 '멀어진다' '갈라져 나간다'는 뜻이다. 이 말을 합치면, 이동평균선이 모아지고, 멀어지는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 즉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 지표'라 할 수 있다.
- MACD는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졌다, 가까워졌다를 반복하는 원리를 이용해서, 주가 흐름의 추세를 확인하고, 추세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활용하는 대표적 추세 확인 보조지표이다.
MACD의 원리와 구성 요소
1. MACD 곡선
- 계산식: 단기 이동평균선(12일) - 장기 이동평균선(26일)
- 주가가 상승할 때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위에 있고, 하락할 때는 그 반대다.
2. 시그널 곡선
- MACD 곡선의 지수 이동평균(9일)으로 만들어 진다.
- 이동평균선 간의 최대 괴리를 파악해 매수/매도 시점을 제공한다.
3. MACD 오실레이터
- 계산식: MACD 곡선 - 시그널 곡선
- 주로 매매 타이밍을 포착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
MACD룰 활용한 주가 예측 방법 4가지
1. 기준선을 이용하면 주가 추세를 알 수 있다.
2. 과매수 · 과매도 상태가 되면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높다.
3. 시그널 곡선을 이용하면 매수 · 매도 시점을 알 수 있다.
4. 다이버전스가 발생하면 추세 전환이 예상된다.
1. 기준선(0선) 활용
- MACD 곡선이 기준선 위에 있으면 상승 추세, 아래에 있으면 하락 추세
2. 과매수/과매도 구간 활용
-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 가능성 증가
-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 가능성 증가
- 신호가 나타나면 매매를 준비하고, MACD가 시그널 곡선을 돌파할 때 매매 실행
3.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 활용
- 골든 크로스: MACD 곡선이 시그널 곡선을 상향 돌파 -> 매수 신호
- 데드크로스: MACD 곡선이 시그널 곡선을 하향 돌파 -> 매도 신호
4. 다이버전스
- 상승형 다이버전스: 주가 하락 중 MACD는 상승 -> 추세 전환 가능성 -> 매수
- 하락형 다이버전스: 주가 상승 중 MACD는 하락 -> 하락 전환 가능성 -> 매도
MACD를 활용한 매매 전략
매수 전략
1) MACD가 시그널 곡선을 상향 돌파 (골든 크로스)
2) MACD가 기준선 위에 있을 경우
3) 상승형 다이버전스 발생 시 적극 매수
매도 전략
1) MACD가 시그널 곡선을 하향 돌파(데드크로스)
2) MACD가 기준선 아래에 있을 경우
3) 하락형 다이버전스 발생 시 적극 매도
MACD 보조지표와의 연계 사용
1. 추세 분석
- 상승 추세에서는 저점 연결선, 하락 추세에서는 고점 연결선 활용
2. 이동평균선
- 일반 차트와 동일하게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이용
3. 패턴 분석
- MACD에서 나타나는 이중 바닥형, V자형 등 패턴도 주요 신호로 활용
MACD 장단점
장점
- 추세 확인 및 전환 포착에 유용
- 중장기 투자자에게 적합(일봉, 주봉 등 활용)
- 매수/매도 타이밍을 명확히 제시
단점
- 단기(5분봉 등) 활용도는 제한적
- 과매수/과매도 구간에서 추세 지속 가능성 간과 위험
관련 글: 주식 보조지표(DMI/ADX, Chaikin's Oscillator, 그물 차트) 정리
관련 글: 추세 선/ 이동 평균 선 이용한 매매 방법
관련 글: 주식 보조지표 (투자심리선, 이격률, 삼선전환도, P&F차트, 역시 계곡선, CCI, RSI) 정리
'경제공부 시작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권 신고서/주식매수청구권_공시 의미와 전략(기업 분할/합병) (0) | 2022.12.31 |
---|---|
스토캐스틱 분석 기법: 매매 신호와 활용 법 5가지 (2) | 2022.12.30 |
추세 분석과 추세선 활용법: 주가 방향 읽는 매매 전략 (0) | 2022.12.30 |
봉차트 패턴과 주가 파동 :성공 매매 전략 (0) | 2022.12.30 |
갭(Gap)과 봉차트 분석: 상승/하락 신호 제대로 읽기 (0)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