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주식공부

MACD 추세 분석: 골든크로스와 다이버전스 완벽 활용법

by 블랙스완 미니 2022. 12. 30.

 

MACD-지표-보는법-추세-분석
MACD지표 활용

추세 분석 지표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 Moving Average는 이동평균선을 말하고, Convergence는 '수렴한다' '모아진다', Divergence는 '멀어진다' '갈라져 나간다'는 뜻이다. 이 말을 합치면, 이동평균선이 모아지고, 멀어지는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 즉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 지표'라 할 수 있다.

 

- MACD는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졌다, 가까워졌다를 반복하는 원리를 이용해서, 주가 흐름의 추세를 확인하고, 추세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활용하는 대표적 추세 확인 보조지표이다. 

 

MACD의 원리와 구성 요소 

 

1. MACD 곡선

 - 계산식: 단기 이동평균선(12일) - 장기 이동평균선(26일)

- 주가가 상승할 때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위에 있고, 하락할 때는 그 반대다. 

2. 시그널 곡선

- MACD 곡선의 지수 이동평균(9일)으로 만들어 진다. 

- 이동평균선 간의 최대 괴리를 파악해 매수/매도 시점을 제공한다. 

3. MACD 오실레이터 

- 계산식: MACD 곡선 - 시그널 곡선

- 주로 매매 타이밍을 포착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 

 

MACD룰 활용한 주가 예측 방법 4가지

 

1. 기준선을 이용하면 주가 추세를 알 수 있다.
2. 과매수 · 과매도 상태가 되면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높다. 
3. 시그널 곡선을 이용하면 매수 · 매도 시점을 알 수 있다.
4. 다이버전스가 발생하면 추세 전환이 예상된다. 

1. 기준선(0선) 활용

- MACD 곡선이 기준선 위에 있으면 상승 추세, 아래에 있으면 하락 추세

2. 과매수/과매도 구간 활용

-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 가능성 증가

-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 가능성 증가

- 신호가 나타나면 매매를 준비하고, MACD가 시그널 곡선을 돌파할 때 매매 실행 

3.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 활용

- 골든 크로스: MACD 곡선이 시그널 곡선을 상향 돌파 -> 매수 신호

- 데드크로스: MACD 곡선이 시그널 곡선을 하향 돌파 -> 매도 신호 

4. 다이버전스

- 상승형 다이버전스: 주가 하락 중 MACD는 상승 -> 추세 전환 가능성 -> 매수 

- 하락형 다이버전스: 주가 상승 중 MACD는 하락 -> 하락 전환 가능성 -> 매도 

 

MACD를 활용한 매매 전략 

 

매수 전략

1) MACD가 시그널 곡선을 상향 돌파 (골든 크로스)

2) MACD가 기준선 위에 있을 경우

3) 상승형 다이버전스 발생 시 적극 매수 

매도 전략 

1) MACD가 시그널 곡선을 하향 돌파(데드크로스)

2) MACD가 기준선 아래에 있을 경우

3) 하락형 다이버전스 발생 시 적극 매도 

 

MACD 보조지표와의 연계 사용

1. 추세 분석

- 상승 추세에서는 저점 연결선, 하락 추세에서는 고점 연결선 활용

2. 이동평균선

- 일반 차트와 동일하게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이용

3. 패턴 분석

- MACD에서 나타나는 이중 바닥형, V자형 등 패턴도 주요 신호로 활용

MACD 장단점

장점

- 추세 확인 및 전환 포착에 유용

- 중장기 투자자에게 적합(일봉, 주봉 등 활용)

- 매수/매도 타이밍을 명확히 제시

 

단점

- 단기(5분봉 등) 활용도는 제한적

- 과매수/과매도 구간에서 추세 지속 가능성 간과 위험 

 


관련 글: 주식 보조지표(DMI/ADX, Chaikin's Oscillator, 그물 차트) 정리

 

주식 보조 지표(DMI/ADX/ Chaikin's Oscillator/ 그물 차트) 종류

보조지표 종류 1. DMI(Directional Movement Index)/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 DMI는 시장이 추세를 가지고 있는지, 또 있다면 어떤 추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지표다. ADX는 DMI를 이동 평균한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추세 선/ 이동 평균 선 이용한 매매 방법

 

추세선/ 이동평균선 이용한 매매 방법

추세선/이동평균선 이용한 매매 방법 추세선(Trend Line)이란? 주가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을 말한다. 주가는 일정 기간 동안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을 추세라 하고,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주식 보조지표 (투자심리선, 이격률, 삼선전환도, P&F차트, 역시 계곡선, CCI, RSI) 정리

 

주식 보조지표 (투자심리선/이격률/삼선 전환도/P&F차트/역 시계 곡선/CCI/RSI) 종류 총 정리

주식 보조지표 활용 총정리 - 그래프를 클릭하면 주가와 거래량 그리고 이동평균선이 나오는데, 다른 차트와 구분하기 위해 기본 차트라고 한다. 기본 차트 외에, 많은 종류의 보조차트가 있는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