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부동산 공부

직장인 자녀에게 부동산 줄 때는, '매매'가 유리한 이유

by 블랙스완 미니 2024. 7. 19.

직장인-자녀-부동산-증여-매매-유리-이유
직장인 자녀 부동산 매매

부동산 증여, 직장인 자녀에겐 매매가 절세 전략

 

부동산 이전, 왜 매매가 더 유리할까?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부모가 자녀에게 부동산을 이전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녀가 성인이며 소득이 있는 경우, 증여보다는 ‘시가 매매’를 활용하는 절세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① 매매하면 양도세 비과세 혜택이 가능

부모가 1 주택을 보유하고 있고 자녀는 무주택자라면 매매 형식으로 부동산을 이전하면서 부모는 양도세 비과세 요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자녀는 이후 2년 이상 보유 후 매각 시 양도세 부담도 절감됩니다.

💡 반면 증여를 택할 경우, 자녀가 해당 부동산을 10년 내 매각하면 이월과세가 적용되며 양도차익이 커져 세금 부담이 대폭 늘어날 수 있습니다.

② 시가 매매 범위 내 거래는 증여세 걱정 없음

부모 자녀 간 거래는 시가보다 낮게 거래하면 증여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가와의 차이가 30% 또는 3억 원 이하(둘 중 적은 금액)라면

증여세 과세 없이

정상 거래로 인정됩니다.

 

③ 상속 분쟁도 사전에 예방 가능

매매로 이전한 부동산은 자녀가 자산을 직접 취득한 것으로 인정되며, 이 경우 해당 부동산은 유류분 반환 청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향후 형제 간 갈등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유력한 방법입니다.

전문가 상담으로 맞춤 절세 전략 세우기

단순히 세금만 줄이는 데 초점을 둘 게 아니라, 자녀의 소득, 보유 부동산 수, 추후 처분 계획까지 고려해야

가족 전체에 유리한 자산 승계가 완성

됩니다.

⚠️ 주의: 단순 증여는 세금 부담뿐 아니라 자녀가 보유 기간 내 매각할 경우 이월과세로 불이익이 커질 수 있습니다. 매매 방식이 훨씬 실리적일 수 있습니다.

자녀에게 부동산 줄 땐 ‘세금과 분쟁’까지 고려

증여냐 매매냐의 판단은 단기적 세금보다

장기적인 자산 전략, 가족 간 분쟁 예방, 양도 효율성까지 고려

해야 합니다. 상속세 부담과 유류분 문제까지 고려해 지금은 매매 방식이 합리적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 글:갭투자 하는법 (전셋 값 상승 시장 주목)

 

갭투자 하는법 (전셋 값 상승 시장 주목)

갭 투자 란?- 갭 투자는 주로 아파트 매입에 활용되는 방법으로, 매매 가격과 전셋값의 차이('갭 gap')만을 부담해서, 비교적 소액으로 부동산에 투자하는 방법이다. 매입 후 전셋값 상승과 부동산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미계약 잔여세대 잡는 법 |청약 통장 없이

 

관련 글: 분양정보 미리 알아보는 방법 |정보 수집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