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상가 조합원 배제,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을까?
재건축 과정에서 비교적 소수인 상가 조합원을 일방적으로 배제할 수 없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습니다. 이 판결은 재건축 사업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상가 조합원 배제 판결 개요
- 상가 조합원을 아파트 분양 대상에서 제외한 정관 변경 → 법원은 "신뢰 위반"으로 판단
- 합의서 무시한 조합의 일방적 추진 → 총회 결의 무효 판결
2. 서초구 진흥 아파트 재건축 사례
- 2019년: 조합과 상가 조합원 간 재건축 합의서 체결
- 2023년: 정관 변경으로 상가 분양권 박탈, 상가 조합원이 소송 제기
- 법원 판결: 조합의 총회 결의는 무효 → 상가 조합원의 권리 인정
3. 개포주공1단지 배상 판례
- 2016년 합의서: 상가 일부를 아파트 부지로 전환 → 개발이익 공유 약속
- 약속 불이행: 조합은 상가 위원회에 1500억 원 배상 판결
4. 재건축 갈등 예방을 위한 전략
- 사업 초기 단계에서 상가 조합원과 합의서 체결
- 정관에 상가 권리 명문화
- 사업 단계마다 합의 내용 점검 및 반영
- 법률 자문과 중재 전문가의 조기 개입
5. 조합과 갈등 시 대처 방법
- 합의서와 관련 증거 확보: 조합과 작성한 모든 문서, 메일, 회의록을 보관하세요.
- 법률 자문 요청: 부당한 배제나 분담금 문제 발생 시, 변호사를 통한 소송 또는 조정 신청이 필요합니다.
- 공익적 여론 형성: 언론 제보, 국토부 및 지자체 민원 등을 통해 정비사업 감시 및 조합의 일방적 추진을 견제할 수 있습니다.
- 조합 총회 참여: 의결권을 행사하고 다른 상가 조합원과 연대하여 대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6. 재건축 상가 조합원과의 갈등에 관한 FAQ
Q1. 상가 조합원을 정관에서 제외해도 되나요?
A. 사전에 체결한 합의서가 있다면 계약적 효력을 가지므로 무효 가능성이 높습니다.
Q2. 조합원이 적은 상가도 소송에서 이길 수 있나요?
A. 정당한 권리 침해가 있다면 인원수와 관계없이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Q3. 재건축 합의서에는 어떤 내용이 꼭 포함되어야 하나요?
A. 상가 분양권, 토지 보상, 이익 배분 방식, 상가 면적 유지 또는 이전 배치 등에 대한 명확한 조항이 필요합니다.
Q4. 상가 조합원과 갈등이 생겼을 때 조합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사전 중재, 협상 기록 확보, 법률 자문 등을 통해 원만한 조정을 시도해야 합니다. 무시할 경우 손해배상 소송 위험이 있습니다.
상가 조합원, '작다고 무시하면' 큰 책임 돌아올 수 있습니다
대규모 재건축 단지일수록 상가와의 합의 내용이 중요합니다. 조합의 일방적 결정은 막대한 손해배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초기부터 상가와의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정관과 합의서로 이를 명확히 문서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일방적 변경 시 총회 결의 무효 및 배상 판결 가능
✅ 사업 초기부터 신중한 협의와 정관 반영 필수
✅ 갈등 발생 시 법적 조치와 총회 대응 등 구체적인 전략 필요
상가와의 사전 합의, 재건축 성공의 필수 조건입니다.
관련 글: 상가 조합원 아파트 얻는 방법 (대법원 판례)
상가 조합원 아파트 얻는 방법 (대법원 판례)
상가 조합원이 아파트 받으려면 조합원 전원 동의- 재건축 아파트 단지의 상가를 보유한 조합원이 상가가 아니라 새 아파트를 분양받으려면 조합원 전원의 동의가 필요하다가는 대법원 판결이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이주 기간 넘겨서 재건축 조합에게 소송 당했을 때 대처 방법
이주 기간 넘겨서 재건축 조합에게 소송 당했을 때 대처 방법
이주 기간 넘겨서 재건축 조합에게 소송당했을 때 대처-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에서는 구역 내 거주자와 세입자에게 수개월의 이주 기간을 정해서 공고한다. 하지만 갑자기 이사려고 하니 막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조합원 입주권 주택일까? 비과세 특례만 믿다가 세금 폭탄
조합원 입주권 주택일까? 비과세 특례만 믿다가 세금 폭탄
조합원 입주권,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 주택 인정 여부- 2021년 11월 아파트 '조합원 입주권'을 매입한 김 모 씨는 이듬해 3월 A주택을 매입했다. 김 씨는 약 2년간 A주택에 거주하다가 2024년 2월 집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상생임대 특례 적용 법 총 정리, 실거주 면제 전략은? (0) | 2024.12.27 |
---|---|
2025 분양권 증여 취득세 중과 규정 완벽 정리(+절세 전략) (0) | 2024.12.26 |
만 60세 이상이면 종부세(종합부동산세) 절세 필수 정보 (0) | 2024.12.14 |
내 집 마련, 정부와 함께 '지분형 주택금융' 활용 방법 (2025) (0) | 2024.12.11 |
LH/SH에서 운영, 공유형 임대주택 입주 조건부터 신청 방법까지 총 정리 (0) | 2024.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