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부동산 공부

7월 재산세 줄이는 방법, 확인해야 할 세금 포인트(2025)

by 블랙스완 미니 2024. 7. 2.

6억-이하-1주택자-7월-재산세-계산
6억 이하 1주택자 재산세

6억 이하 1주택자 재산세 혜택, 2025년 7월 납부 전 꼭 확인!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

2025년 7월은 토지·주택 보유자가 반드시 체크해야 할 달입니다.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과세되며, 7월과 9월에 나눠 납부합니다.

📌 납부 시기 요약:
- 주택: 1기분(7월 16~31일), 2기분(9월 16~30일)
- 토지: 9월 16~30일
- 건축물·선박·항공기: 7월 16~31일
※ 주택분 세액이 20만 원 이하면 7월에 일시납

올해도 1주택자 재산세 경감 유지

2025년에도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1주택자에 대한 재산세 경감 조치가 유지됩니다. 정부는 재산세 부담 완화를 위해 공정시장가액비율 인하를 지속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2025년 적용 공정시장가액비율

  • 3억 이하: 43%
  • 3억 초과 ~ 6억 이하: 44%
  • 6억 초과: 45%
공정시장가액비율이 낮을수록 과세표준이 줄어 세금이 낮아집니다. 정부는 이를 2026년까지 연장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재산세 계산법 간단 정리

재산세 =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 세율 공시가격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1주택자 특례 세율 적용

공시가격 9억 이하 1주택자는 표준세율보다 0.05% 낮은 특별세율이 적용됩니다.

과표 구간 표준세율 특례세율
6천만 원 이하 0.10% 0.05%
6천만 초과 ~ 1.5억 원 이하 0.15% 0.10%
1.5억 초과 ~ 3억 원 이하 0.25% 0.20%
3억 원 초과 0.40% 0.35%

소유 시점도 중요합니다

재산세는 6월 1일 기준 소유자가 납부합니다. 예: 5월 31일에 매도하고 6월 2일에 소유권 이전된 경우 → 매도자가 재산세 납부

주의:
신탁재산은 수탁자 명의더라도 위탁자가 납세 의무자입니다. 등기된 명의만 보고 판단하면 오류가 생길 수 있습니다.

마무리 요약

2025년에도 1주택자에게 유리한 재산세 혜택이 이어집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과 특례세율을 잘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납부 기한을 놓치지 말고, 사전에 공시가격을 확인해보세요.

 

 


 

관련 글: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혜택 '거주 요건'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혜택 '거주 요건'

일시적 2주택 비과세와 세금 혜택: 놓치면 큰일 나는 조건 정리 1. 일시적 2주택 비과세란?새 주택을 매수한 후 기존 주택을 3년 내 처분할 경우에 취득세,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에서 혜택을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무주택자 인 줄 알았는데 취득세 중과 사례

 

무주택자 인 줄 알았는데 취득세 중과 사례

무주택자인 줄 알았는데 취득세 중과? 분양권 계약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함정 1. 무주택자인데 왜 취득세 폭탄?취득세는 분양권 계약 시점의 주택 보유 수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계약 당시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부동산 분양권/계약파기/재건축 중과세 |알아야 할 것들

 

모르고 당하는 중과세! 재건축/분양권 계약 리스크 완벽 정리

2025년 분양권·재건축·가계약 실전 중과세 판례 총정리 ① 재건축으로 2채 받은 조합원, 종부세 중과 정당 판결📌 판례 요약2021년, 재건축 조합원 A 씨는 소형 포함 아파트 2채를 분양받는 선택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