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주식공부

50일 이동평균 상회 종목 분석 및 신호 활용 |시장분석 지표

by 블랙스완 미니 2023. 10. 24.

50일 이동평균 상회 종목

50일 이동평균 상회 종목 분석 및 신호 활용 방법 

- 주식시장에서는 이동평균(MA)이 중요한 기술적 지표로 활용된다. 이동평균은 일정 기간 동안 주가의 평균을 나타내며, 현재 주가가 이동평균보다 높다면 강세, 낮다면 약세를 의미한다. 특히 50일 이동평균선은 중기 추세 분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50일 이동평균선을 상회하는 종목 수가 많다면 상승장 신호
50일 이동평균선을 하회하는 종목 수가 많다면 하락장 신호 

- 이 지표는 뉴욕증권거래소(NYSE), AMEX, 나스닥(NASDAQ)에서 거래되는 모든 종목을 분석해서 이동평균을 상회하는 종목 수를 백분율(0~100%)로 나타낸다. 

- 이를 통해 시장 전체의 강세/약세 흐름을 파악하고 반전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50일 이동평균선 활용법과 반전 신호 포착

 

1. 50일 이동평균 상회 종목 비율 분석

- 50일 이동평균선을 상회하는 종목의 비율이 시장의 흐름을 나타낸다. 

비율이 75% 이상: 시장이 과열 상태이며 상승 피크 가능성이 있음
비율이 25% 이하: 과매도 구간으로, 반등 가능성이 높아짐 

- 하지만 단순히 특정 수치에 도달했다고 매매 결정을 내려서는 안 된다. 중요한 것은 방향 전환(반전) 시그널이다.

2. 중기 반전 예측: 75% & 25% 지점 활용

 75% 이상 도달 후 하락 -> 매도 신호
25% 이하 도달 후 상승 -> 매수 신호 

- 이 지표는 극단적인 90~10% 구간까지 가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75%와 25%에 기준선을 긋고 방향 전환을 확인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다. 

상승장에서 75% 이상 도달 후 하락 -> 천장 형성 가능성
하락장에서 25% 이하 도달 후 반등 -> 바닥 형성 가능성 

- 즉, 비율이 특정 수준을 넘었다고 바로 매매하지 말고, "방향 전환" 여부를 확인한 후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50일 이동평균선

 50일 이동평균 상회 종목 비율 & 반전 신호 활용한 매매 전략

- 단순히 특정 지표 하나만으로 매매 결정을 내려서는 안 된다. 50일 이동평균선 지표를 활용할 때, 다른 기술적 지표와 함께 사용하면 신뢰도가 높아진다

보조지표와 함께 활용하면 더 강력한 매매 전략 가능 

MACD (이동평균 수렴/발산)
RSI (상대강도지수, 과매수/과매도 확인)
거래량 분석 (세력의 움직임 포착)

50일 이동평균 핵심 정리

1) 50일 이동평균 상회 종목 비율이 75% 도달 후 하락 -> 매도 시그널

2) 50일 이동평균 상회 종목 비율이 25% 도달 후 상승 -> 매수 시그널

3) MACD, RSI, 거래량 등 다른 지표와 함께 분석하면 신뢰도 높아짐

4) 이 지표는 천장이 넓고 바닥이 뾰족하다는 특징이 있다 -> 공포 국면에서 빠른 반등 가능성 고려

※ 시장이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반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지 판단할 때 매우 유용한 지표

 

 


관련 글: 실적이 좋았던 트레이더의 지혜 20가지 |투자 마인드

 

실적이 좋았던 트레이더의 지혜 20가지 |투자 마인드

성공한 투자자들의 지혜 20가지 1. 매매에 대한 열정이 있는지부터 확인한다 - 자신이 정말 매매를 원하는지부터 확인한다. 자신이 매매를 좋아하긴 하지만, 사실은 매매에 열정이 없는 사람들도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박스권 추세 차트 심리 분석

 

박스권 추세 차트 심리 분석

박스권 추세 차트 분석 방법 추세에 투영되는 군중 심리 - 박스권은 힘이 비슷한 집단 간의 싸움 같다. 서로 밀고 당기지만 어느 쪽도 확실히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형국이다. 추세란 힘센 패거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이동평균 차트 심리 분석

 

이동평균 차트 심리 분석

이동평균 차트 심리 분석 - 단순이동평균에 새로운 데이터(주가)가 추가되면서 이동평균선은 변한다. 이동평균은 가장 최근의 주가를 반영해야 하므로 이건 당연하다. 하지만 가장 오래된 주가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