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부동산 공부

조합원 입주권 매도 시 양도소득세(양도세) 계산 법 총 정리(2025)

by 블랙스완 미니 2024. 4. 28.

조합원-입주권-매도-양도소득세-계산
조합원 입주권 매도

조합원 입주권 매도 시 양도소득세 절감 전략

 

1. 조합원 입주권이란?

도시정비법 또는 빈집특별법에 따라 관리처분계획 인가 이후 취득한 입주자 선정 지위를 '조합원 입주권'이라 합니다. 주택과는 과세 방식이 다르므로 매도 시 세금 계산에 유의해야 합니다.

 

2. 양도소득세 비과세 기준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

  • 보유 & 거주 기간 요건 충족 시 매도금액 12억 원 이하까지 비과세
  • 12억 초과분은 장기보유특별공제 후 양도세 부과
  • 관리처분계획 인가일 기준으로 비과세 여부 판단
관리처분계획 인가일 이후 매도 시, 기존 주택 보유 기간 기준으로 비과세 적용되며,
인가 후 발생한 프리미엄 부분은 장기보유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3. 조합원 입주권과 일반 주택의 차이

  • 인가 전 차익: 기존 건물분 양도차익 → 장기보유공제 가능
  • 인가 후 차익: 프리미엄 → 공제 불가

따라서 입주권 매도 시기와 차익 구분이 핵심입니다.

4. 신축 주택 양도 시 적용

  • 보유기간: 기존 취득일~양도일 (단, 청산금 납부분은 인가일부터)
  • 거주기간: 입주 전까지와 입주 후 각각 따로 계산
실전 팁: 원조합원은 기존 주택 보유 및 거주 기간 인정되지만, 승계 조합원은 불인정 → 세금 부담 증가

 

5. 승계 조합원 vs 원조합원

구분 보유기간 산정 비과세 적용 장기보유공제
원조합원 기존 주택 취득일부터 가능 가능
승계 조합원 준공 후부터 불가 3년 이상 보유 시 가능

6. 양도세 절감 전략

  • 관리처분계획 인가 이전에 매도하는 것이 유리
  • 양도차익을 인가 전/후로 구분해서 신고
  • 승계 조합원은 준공 후 3년 보유해야 장기보유공제 가능
조합원 입주권 양도 시, 비과세 적용 여부와 세금 구분 방식에 따라 수천만 원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전문가와 사전 상담을 권장합니다.

 


 

관련 글: 재건축/재개발 |1+1입주권 /양도세/자산가치 평가 세금과 판례

 

재건축/재개발 |1+1입주권 /양도세/자산가치 평가 세금과 판례

재건축, 대체주택 양도세 절세 방법 - 완공되는 재건축 주택 외에 재건축 기간 동안 임시 거처로 사용하기 위해 매입한 대체 주택을 보유하는 경우가 있다. 대체 주택은 말 그대로, 재건축이나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청산금 받은 조합원, 시공사와의 채무 확인 필수

 

청산금 받은 조합원, 시공사와의 채무 확인 필수

조합 해산 뒤 받은 청산금, 시공사 채무 확인 해야- 재건축 조합의 조합원이었던 A 씨는 법원으로부터 소장을 받았다. 조합이 해산 및 청산 절차에서 협력업체에 공사대금을 변제하지 않아 협력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재건축 임시 주택 종부세 폭탄 안 맞으려면

 

재건축 임시 주택 종부세 폭탄 안 맞으려면

재건축 임시 주택 종부세- 소유 주택의 재건축으로 거주할 주택이 필요해서 대체주택을 취득한 경우, 주의할 부분이 있다. 작년 말 세법 해석이 정비되면서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위한 대체주택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