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내 집 마련 위한 정책자금 대출 완전 정리 (2025년 최신 가이드)
1. 신생아 특례 대출
정부가 2024년 도입한 신생아 특례 대출은 출산·입양을 기준으로 2년 이내의 무주택자 또는 1주택자에게 저리로 주택자금을 지원합니다. 주택 구입과 전세 자금 모두 활용 가능하며, 금리는 연 1.6~3.3% 수준입니다.
- 대상 주택: 9억 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 소득 요건: 부부합산 연소득 1억 3000만 원 이하
- 자산 요건: 순자산 4억 6900만 원 이하
- 조건: 출산/입양 후 24개월 이내 신청
2. 보금자리론 (2025년 기준)
특례보금자리론을 대체한 정규 보금자리론은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로, 중·저가 주택 구입 시 유용합니다. 금리는 연 4.2~4.5% 수준이며, 우대금리를 통해 추가 인하도 가능합니다.
- 대상 주택: 6억 원 이하
- 대출 한도: 최대 3억 6000만 원
- 소득 요건: 신혼부부 8500만 원 이하, 자녀수에 따라 8000~1억 원 이하
- 만기 설정: 39세 이하 40년, 34세 이하 50년까지 가능
3.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 대출
청년 무주택자를 위한 청년주택드림 통장은 최대 월 10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하며, 최고 연 4.5% 이율과 세제 혜택이 특징입니다.
- 가입 대상: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 소득 요건: 연 5000만 원 이하
- 소득공제: 연 300만 원 한도에서 40% 공제
- 이자소득 비과세: 근로소득 3600만 원,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
청년주택드림 대출 조건
가입 후 1년 이상, 납입액 1000만 원 이상이면, 분양가의 최대 80%까지 연 2.2~3.6%로 대출이 가능합니다.
- 대상: 만 39세 이하 무주택자
- 소득 요건: 미혼 7000만 원 이하, 기혼 부부합산 1억 원 이하
- 주택 조건: 분양가 6억 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정책 자금 활용 시 주의사항과 팁
- 정책상품은 변경이 빠르므로, 해당 연도 조건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상품 간 중복 사용 여부는 은행에 따라 해석이 다를 수 있으니 공식 상담 필요
- 신청 전 청약통장, 무주택자 조건, 가구원 수 확인 필수
정책자금, 잘 쓰면 수천만 원 차이
2025년 정부 지원 대출은 신생아 혜택, 청년 통장, 고정금리 대출 등으로 다양화되었습니다. 조건만 맞는다면 시세보다 금리 1~2% 낮은 대출을 이용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수천만 원의 이자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내 집 마련 계획이 있다면 정책금융 정보는 매년 챙겨보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관련 글: 신생아 특례 활용으로 어떤 집 살까?
신생아 특례 활용으로 어떤 집 살까?
신생아 특례 활용 방법 - 작년 9월 특례 보금자리론이 일반형(주택가액 6억~9억)에 이어 연초에는 우대형(6억 이하) 까기 막히면서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은 더욱 어려워졌다. 고금리 시기에 한줄기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대출 갈아탈 최적 타이밍은?
대출 갈아탈 최적 타이밍은?
대출 갈아타는 최적의 타이밍은? - 온라인 대환대출 인프라에 아파트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잉 추가되면서 대출 갈아타기에 대한 관심이 높다. 금융 위원회에 따르면 2월 9일 주담대 갈아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단 한 번 뿐인 특별 공급,청약 자격 총 정리 (2025)
단 한 번 뿐인 특별 공급,청약 자격 총 정리 (2025)
특별공급, 경쟁 없이 내 집 마련 기회특별공급은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을 지원하는 제도로, 1세대 1회만 신청할 수 있는 제한적 기회입니다. 노부모 부양, 다자녀, 신혼부부, 기관 추천 등 사회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츠로 미분양 매입하면 세금 혜택? 핵심 전략 정리 (0) | 2024.04.11 |
---|---|
2025년 분양시장 판도 변화, 중도금 무이자 + 계약금 정액제 활용 법 (0) | 2024.04.08 |
자녀에게 주택 증여할 때 조심할 점 (0) | 2024.04.01 |
전셋값이 집값보다 높을 때, 지금 갭투자 해도 될까? (디커플링) (0) | 2024.03.14 |
전세/대출 낀 집 증여, 절세 기회일까 세금 폭탄일까? (0) | 2024.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