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준, 부동산 바닥 신호 총정리
부동산 시장의 바닥을 알리는 10가지 징후
부동산 투자 시기를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장의 흐름을 읽는 것입니다. 다음 10가지 신호는 시장의 저점을 판단하는 데 매우 유용한 지표로, 실제 많은 투자자들이 바닥을 가늠할 때 활용하는 기준입니다.
- 부동산 투자 강연회에 인파가 몰리지 않는다.
시장의 열기가 식을수록 강연장은 한산해집니다. - 부동산 관련 도서 판매량이 급감한다.
대중의 관심이 멀어졌다는 뜻입니다. - 언론에서 부정적인 뉴스가 끊임없이 보도된다.
"거품 붕괴", "미분양 공포" 등의 키워드가 넘칩니다. - 시장에 비관론이 퍼진다.
"앞으로 더 떨어질 거다"는 말이 많아질수록 바닥에 가까워집니다. - 건설사 부도 소식이 잇따른다.
자금 경색이 극심해졌다는 신호입니다. - 정부가 부동산 부양 대책을 잇따라 발표한다.
전매제한 완화, 대출 규제 완화 등이 대표적입니다. - 최근 매입한 실수요자들이 손해를 감수하고 매도한다.
심리적 바닥이자 현실적 하락 피로감의 표현입니다. - 법원 경매 응찰자 수 감소 & 낙찰가율 70%대 하락
수요 위축이 확연히 드러나는 지표입니다. - 수도권에 마이너스 프리미엄 분양권이 속출한다.
청약 수요가 빠지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 건설사들이 신규 분양을 줄줄이 연기한다.
시장 반응이 약하다는 것을 인지한 조치입니다.
2025년 3월 26일 기준, 우리는 어디에 있을까?
현재 부동산 시장은 낙찰가율 하락, 분양권 마이너스 프리미엄, 건설사 분양 연기 등 복합적인 하락 신호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정부의 규제 완화와 부양책이 잇따르고 있어 시장 반등의 신호탄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전문가 조언: 이런 흐름이 보이면 집중하세요
- 최근 부동산 강연 참석자 수가 급감했는지 체크
- 부동산 유튜브 조회수 & 콘텐츠 업로드 빈도 감소 여부 확인
- 매도자보다 매수자 심리가 위축돼 거래량이 뚝 끊겼다면 주목
- 정부의 대출규제 완화, 취득세 감면 등 제도 변화 주시
관련 글: 부동산 가격과 환율 관계
부동산 가격과 환율의 숨은 연결 고리
부동산 가격과 환율의 상관 관계 및 주요 영향 요인 1. 부동산 가격과 환율 변동의 연관성 1) 부동산 가격 상승- 기업 이익 및 명목소득 증가 -> 환율 하락 2) 부동산 가격 하락- 경제 펀더멘털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미계약 잔여세대 잡는 법 |청약 통장 없이
줍줍의 기회, 미계약 잔여세대 완전 공략법
틈새시장, 미계약 잔여세대와 미분양 전략미계약과 미분양은 헷갈리기 쉬운 용어지만, 의미는 다릅니다. 미계약 vs 미분양 차이점미분양: 청약 신청자가 부족해 동·호수 배정이 안 된 잔여물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전국에 깔리는 광역 철도와 부동산 관계
교통망이 바꾸는 부동산 지도, 2025년 핵심 노선 총 정리
2025년 전국 철도·도로망 확장과 부동산 가격의 상관관계 1. 수도권 철도: GTX와 지하철 연장, 집값에 미치는 영향수도권의 핵심 철도 프로젝트는 단연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입니다.GTX-A: 동탄~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세부터 종부세까지, 오피스텔 주거용 전환 시 주의할 점 (0) | 2024.04.18 |
---|---|
젊은 세대가 가장 먼저 보는 조건, '직주근접' 단지 어디? (0) | 2024.04.18 |
조합원만 가능한 '보류지' 투자, 왜 시세 절반일까? (0) | 2024.04.15 |
상가 건물 임대차 보호법/부가세 절세 방법 (0) | 2024.04.13 |
리츠로 미분양 매입하면 세금 혜택? 핵심 전략 정리 (0) | 2024.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