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세금이란?
부동산 투자에서 세금은 수익률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이다. 세법 조항을 모두 외우기보다는 어떤 세금이 언제, 어떤 기준으로 부과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절세 전략을 잘 활용하면 100만 원 이상의 비용을 줄이고, 그 자금을 다시 투자해 더 큰 자산을 만들 수 있다.
부동산 세금은 크게 세 가지
- 취득할 때 : 취득세
- 보유할 때 :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 양도할 때 : 양도소득세
1. 부동산 살 때 - 취득세
부동산을 구입하면 구입가의 일정 비율을 취득세로 납부해야 하며, 규제지역 여부와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진다.
예시
취득세율 8% 적용 → 1,600만 원 추가 납부 필수
2. 부동산 팔 때 - 양도세
양도세는 부동산을 팔아 얻은 이익에 대해 부과된다. 공제항목이 많고, 규제지역 및 주택 수 여부에 따라 혜택이 달라 복잡하다.
양도세 계산 순서
-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양도차익
- 양도차익 - 기본공제 - 장기보유특별공제 = 과세표준
- 과세표준 × 세율 = 양도세 산출세액
- 산출세액 - 누진공제 = 최종 납부세액
예시
양도차익 = 3억 → 기본공제 250만 원 + 장기보유공제 후 세율 적용
※ 1세대 1주택은 비과세 조건 충족 시 세금 면제 가능
3. 부동산 보유 시 - 보유세
① 재산세 (지방세)
- 매년 6월 1일 기준 소유자에게 과세
- 납부 시기: 7월, 9월 2회 분할 납부
② 종합부동산세 (국세)
- 인별 합산 기준으로 전국 부동산 가격이 일정 기준 초과 시 부과
- 과세 기준일: 6월 1일 / 납부 시기: 12월
2025년 기준 종부세 과세 기준
다주택자: 9억 초과 합산 기준
관련 글: 동거 주택 상속 공제 (며느리/사위도 가능) 요건 정리
동거주택 상속 공제 요건 | 며느리,사위도 가능
동거 주택 상속 공제 란?- 동거주택 상속 공제는, 10년 이상 부모와 함께 살면서 부양한 자녀에게 주어지는 혜택이다. 부모와 살던 주택을 상속받는 경우에, 6억 원까지 추가 상속공제 혜택도 받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부동산 투자 전 알아야 할 것 (동산의 구분과 세금)
부동산 투자 기초_ 동산의 구분과 세금
부동산 투자 시작 전- 부동산의 종류와 각종 세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부동산이란, 원래 '움직여서 옮길 수 없는 재산'으로, 토지나 건물 등을 포함한다. 부동산의 구분- 부동산에는 아파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공시 1억 이하 주택수 포함 (청약/세금낼 때) 총 정리
공시 1억 이하 주택수 포함 (청약/세금낼 때) 총 정리
공시지가 1억 이하의 소형 저가주택의 주택수 포함 여부 총 정리 공시 1억 이하 세금/청약/주택수 포함 총 정리 소형 저가주택이 주택수에 미포함 시 받는 혜택1) 세금을 낼 때 양도세 중과 배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최신! 주택 대출 규제와 혜택 총 정리 (0) | 2022.05.20 |
---|---|
재건축보다 빠른 리모델링? 장단점 비교 분석 (0) | 2022.05.14 |
2025년 주택 임대 소득 신고 방법, 필수 정보 총 정리 (0) | 2022.05.10 |
비례율부터 권리가액까지, 재건축 기초 용어 쉽게 정리 (0) | 2022.04.29 |
청약 당첨 후 꼭 알아야 할 6단계 절차 총 정리 (0) | 2022.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