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시작/부동산 공부

동거 기준 상속 공제 총 정리 (2025)

by 블랙스완 미니 2022. 12. 7.

 

동거주택-상속-공제-요건
동거 주택 상속 공제 요건 정리

부모와 함께 살며 받은 집, 세금 없이 상속 가능할까?

 

 동거주택 상속공제란?

동거주택 상속공제는 10년 이상 부모와 함께 거주하며 부양한 자녀에게 주택 상속 시 최대 6억 원을 공제해 주는 제도입니다. 인적 공제(5억)와 함께 적용되면 최대 11억 원까지 상속세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주요 변경 사항

  • 자녀 외에 자녀의 배우자도 동거 시 공제 대상 포함
  • 부모가 주택 지분을 생전에 증여해도 공제 가능
  • 동거 인정 예외 사유: 직장 이전, 군복무, 요양 등 불가피한 사유에 한해 제외 기간이 동거 중단으로 간주되지 않음

 동거주택 상속공제 적용 요건

  • 10년 이상 부모와 동일 주소지에서 거주
  • 만 19세 이후의 동거 기간만 인정
  • 상속 시점에 자녀와 배우자가 무주택자여야 함
  • 부모는 상속 직전 10년간 무주택 또는 1 주택자여야
  • 일시적 2 주택자는 2년 내 종전주택 처분 시 인정
  • 자녀가 기존 주택을 보유했다면, 부모와 합친 날부터 5년 내 처분해야 인정

 

 적용 사례 예시

아버지가 2025년 2월 사망, 서울 아파트 시가 11억 원을 자녀에게 상속.

  • 자녀는 만 19세 이후 10년 이상 동거
  • 부모는 1주택자였고, 자녀는 무주택자

👉 이 경우 인적 공제 5억 + 동거주택 공제 6억 = 11억 전액 공제
상속세 0원!

 

 주의해야 할 점

  • 동거 기간 계산 시 군 복무, 지방 발령 등 제외 기간은 포함되지 않음
  • 만 19세 이전 동거는 인정되지 않음
  • 부모가 다주택자였던 경우는 적용 불가
  • 주택 외 재산이 있는 경우, 공제 후 과세 대상이 남을 수 있음

필요 서류

  • 주민등록등본(10년 이상 주소 확인용)
  • 부모의 주택 보유 여부 증명서류(등기부등본 등)
  • 기존 주택 처분 시 매매계약서 등 증빙
  • 공제 대상 주택 시가평가서(상속재산가액 산정용)
✔ 요약
- 부모와 10년 이상 동거한 무주택 자녀(또는 배우자 포함)가 1주택자 부모의 주택을 상속하면 최대 6억 원 추가 공제
- 2025년 기준, 생전 지분 증여와 배우자 동거 인정까지 확대됨
- 요건이 까다롭지만 제대로 준비하면 상속세 없는 주택 상속 가능!

 

 


 

관련 글: 부동산 기초 용어 간단 정리 (세금 관련)

 

부동산 기초 용어 간단 정리 (세금 관련)

부동산 세금 관련 기초 용어 간단 정리 1. 상속세 -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상속 재산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 1) 피상속인 - 사망한 사람 또는 실종선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보험으로 절세 효과 Up '종신 보험' 활용 법

 

잘 모르는 '종신 보험' 상속세 활용 방법

상속세 절세 '종신 보험' - 요즘 종신보험은 유가족 생활자금이나 상속세 부담 해결의 대안으로 사용되고 있다. 세제혜택, 다양한 특약 등을 활용해 종합 보장설계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최근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  재산세와 종합 부동산세 차이 (+ 입주권/오피스텔 사례)

 

재산세와 종합 부동산세 차이 (+ 입주권/오피스텔 사례)

재산세와 종합 부동산세, 내는 입장에서는 비슷해 보이는데 어떤 게 다를까?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의 차이- 재산세는 모든 부동산에 대해 시가표준액 전체 금액에 대해 부과된다. 하지만

zezemini.tistory.com

 

 

댓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