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주담대, 은행별 조건 총정리 및 유리한 선택법
주담대 조건, 은행마다 다르다
2025년 3월 기준, 대출금리는 하락 추세지만 은행별 주택담보대출 조건은 제각각입니다. 다주택자, 1주택자, 수도권 여부, 만기 조건 등 다양한 제한이 있으므로 유리한 조건을 찾기 위해 반드시 비교가 필요합니다.
1. 다주택자 대출 가능한 은행
- 하나은행: 수도권 포함, 다주택자 주담대 허용 (최대 40년 만기)
- 우리은행: 다주택자 허용 (단, 수도권은 제한될 수 있음)
- 농협은행: 수도권 외 지역 다주택자 허용, 수도권은 제한
2. 1주택자 대출 조건
- 자유로운 대출 가능: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 조건부 가능: 신한은행(기존주택 처분 조건), 국민은행(수도권 제한 + 처분 조건부)
3. 주담대 만기 설정 조건
- 40년 만기: 하나은행 (지역 무관)
- 30년 만기: 국민, 신한, 우리, 농협은행
4. 생활안정자금용 주담대
- 신한은행: 제한 없음
- 국민/우리/농협은행: 다주택자 한도 2억 원
- 하나은행: 다주택자 한도 1억 원
5. 분양주택 전세대출 가능 여부
- 가능: 신한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 불가: 국민은행, 우리은행
6. 대출 선택 시 유리한 전략
하나은행, 우리은행을 우선 고려. 수도권 주택이면 하나은행이 가장 유리.
기존 주택 처분 없이 대출 원하면 하나/우리/농협 선택. 신한은행은 처분 조건 있음.
만기가 긴 하나은행(40년) 활용하면 월 부담을 낮추면서 한도는 확대 가능.
대출 조건은 수시로 변경되므로, 신청 전 반드시 은행 홈페이지 또는 지점에서 최신 조건 확인 필요.
최근 대출금리 동향
5대 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는 1월 2일 연 3.49~5.99% → 3월 7일 기준 3.38~5.88%로 하락.
신한은행: 주담대 가산금리 0.1%p 인하 예정 (3월 14일부)
하나은행: 혼합형 주담대 가산금리 0.15%p 인하 (3월 10일부터)
목적과 상황에 맞는 은행을 선택하자
같은 조건이라도 은행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금액, 조건, 이자가 다릅니다. 다주택자/1주택자, 수도권 여부, 주택 유형에 따라 전략적으로 은행을 선택해야 세금 부담 없이 유리한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 글:2025년 대출 개편! 신혼부부/무주택자를 위한 디딤돌/버팀목 완벽 분석
2025년 대출 개편! 신혼부부/무주택자를 위한 디딤돌/버팀목 완벽 분석
디딤돌/버팀목 신혼부부 무주택자를 위한 완벽 정리 (2025)- 신생아 특례 대출의 부부합산 소득 기준을 기존 1억 3,000만 원에서2억 원으로 상향하면서 더 많은 신혼부부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전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주택담보대출(주담대) 주기형 VS 혼합형 차이 비교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주기형 VS 혼합형 차이 비교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혼합형 vs 주기형 차이 비교 - 은행들이 5년마다 금리가 변동되는 '주기형' 주담대를 적극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기존에 주력이던 '혼합형' 주담대(5년 고정 후 변동금리 전
zezemini.tistory.com
관련 글:디딤돌 대출 자격/소득/무주택 조건 완벽 정리 (2025)
디딤돌 대출 자격/소득/무주택 조건 완벽 정리 (2025)
2025년 기준 디딤돌 대출 자주 묻는 질문 11가지 + 실전 팁 1. 디딤돌대출 신청 후 퇴사하면 어떻게 되나요?대출 신청 시점 기준으로 심사가 진행되며, 평균 1개월 내외 소요됩니다. 심사 이후 퇴사
zezemini.tistory.com
'경제공부 시작 >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주택자가 분양권을 샀을 때 취득세, 조정지역/일시적 2주택 조건까지 (0) | 2024.05.26 |
---|---|
전세보증보험 가입 전 반드시 확인할 조건 4가지 (0) | 2024.05.23 |
안전진단 면제부터 용적률 상향까지, 노후계획도시 특별법 (0) | 2024.05.12 |
전문가가 알려주는 '불패 아파트' 선택법 10가지 (0) | 2024.05.03 |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혜택 '거주 요건' (0) | 2024.05.01 |
댓글